목욕을 오래 하거나 설거지를 하다 보면 손가락 끝이 쭈글쭈글해지죠?
어릴 적엔 마치 피부가 늙은 것처럼 변하는 게 신기했지만, 이 현상은 단순한 '물에 불음'이 아닙니다.
오늘은 손이 물에 젖으면 왜 주름이 생기는지, 과학적으로 풀어보겠습니다.
피부가 물을 흡수해서 생기는 현상일까?
한때는 단순히 피부가 물을 흡수해 부풀어 오르며 주름이 생긴다고 생각됐어요.
하지만 과학자들은 그 이상이라는 걸 밝혀냈습니다.
1980년대 연구에서, 손에 신경 손상이 있는 사람에게는 주름이 생기지 않는다는 결과가 있었어요.
즉, 이 현상은 수동적인 물 흡수가 아니라 신경계에 의한 능동적 반응이라는 거죠.
자율신경계가 관여한다
손을 물에 오래 담그면, 피부 아래의 혈관이 자율신경계의 명령으로 수축하게 됩니다.
이때 혈관이 줄어들면서 피부 내부 압력이 떨어지고, 그 결과 표면이 움푹 패이는 구조가 생기죠.
이 주름은 일정한 방향과 깊이로 생기며, 마치 물속에서의 접지력을 높이기 위한 패턴처럼 보이기도 해요.
생존을 위한 진화적 반응?
최근 연구에 따르면, 이 현상은 미끄러운 환경에서 물건을 더 잘 잡기 위한 진화적 반응일 수 있다고 해요.
실제로 주름이 생긴 손가락은 젖은 물건을 더 잘 움켜쥘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.
이는 마치 자동차 타이어의 홈이 빗물에서 접지력을 높이는 원리와 비슷하죠.
이런 가설을 통해, 단순한 생리현상처럼 보였던 ‘손가락 주름’이 인간 생존 전략의 일환일 수 있음이 밝혀지고 있어요.
주름은 왜 발에는 잘 안 생길까?
손은 섬세한 움직임과 감각을 많이 사용하는 부위예요.
반면 발은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고, 물속에서 물건을 잡는 기능도 없죠.
그래서 진화적으로 손에만 특화된 반응이 생겼을 가능성이 큽니다.
게다가 발은 각질층이 두꺼워 물 흡수 속도도 다르기 때문이기도 해요.
📌 요약 정리 (한국어)
- 손가락에 주름이 생기는 건 단순한 물 흡수가 아닌 신경계 반응입니다.
- 자율신경계가 혈관을 수축시켜 주름을 만들고, 이는 젖은 환경에서 접지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.
- 진화적 생존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는 현상입니다.
📌 Summary (English)
- Wrinkled fingers in water are caused by nerve-controlled blood vessel constriction, not just water absorption.
- This helps grip wet surfaces better, similar to tire treads.
- The phenomenon may be an evolutionary adaptation for survival.